728x90 반응형 전체 글215 [KJY 만난 사람들] 생명과 환경을 작품에 담다, 설치미술가 이경호 작가 설치미술가 이경호 작가의 작품 세계를 관통하는 키워드는 '환경'이다. 이 작가에게 환경 문제는 현실이다. 정치인이나 환경론자들만의 문제가 아닌, 일상의 문제이자 해결이 시급한 전 인류의 과제다. 우리가 사는 지구가 환경 파괴로 신음하고 있음을 그는 일상적으로 자각한다. 환경 문제에 현미경을 들이대며 우리의 삶과 터전의 문제로 초점을 맞추는 데 주저함이 없는 이경호 작가를 만나 그의 작품 세계와 치열한 사유의 흔적을 들어봤다 환경을 주제로 한 작품세계 여러 도시를 여행하면서 하늘에 띄운 비닐봉지가 이리저리 바람에 날리는 모습을 카메라에 담았다. 석유와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지는 일회용 비닐봉지는 제작 과정과 사용 이후의 심각한 환경 파괴 문제로 각국이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는 실정이다. 전에는 ‘허무 덩어리.. 2021. 11. 24. [KJY 만난 사람들] 중증장애인 고용 창출, 에덴복지재단 정덕환 회장 장애인들을 달리 보지 말아 줬으면 좋겠다. 다른 존재가 아닌 같은 처지로 보고 편하게 대해 달라는 것이다. 너무 의식하고 조심하다 보면 그게 오히려 장애인들에게 상처가 되기도 한다 전도유망한 전 국가대표 유도선수 출신인 정덕환 에덴복지재단 회장. 그는 고등학생 시절 연습경기 도중 불의의 사고로 하루아침에 전신마비 장애인이 됐다. 실의에 빠지기도 했지만 정 회장은 그런 절망적인 상황을 오히려 인생의 전환점으로 삼고 평생을 장애인 복지와 재활 지원에 헌신해왔다. 지난 1983년 에덴복지재단을 설립, 유아에서 성인까지 전 연령의 장애인 직업재활을 위한 활동에 전념해왔으며, 특히 2015년 중증 장애인의 평생일터 행복공장 만들기 운동본부를 출범해 중증장애인의 일자리 확충에 집중하고 있다. 중증장애인의 고용 .. 2021. 11. 23. [KJY 만난 사람들] 전통농업연구소 안철환 대표 "도시농업 일자리 창출 모델 만들 것" 전통농업연구소 안철환 대표는 토종 종자의 보존과 전통농업의 복원 운동에 앞장서고 있는 열렬한 도시농업 활동가이자 농부다. 지금은 흔히 쓰이는 도시농업이란 용어도 안 대표가 지난 2004년부터 도시농업 운동을 기획하고 추진해 온 결과로 우리 생활에 밀접하게 자리매김한 것이다. 오랜 기간 도시농업 운동에 매진해 온 그의 주 관심사는 우리 농업을 살리는 근본적인 방안이다. 그에 대한 고민에서 비롯된 것이 토종 보존과 거름 순환이다. 그가 운영 중인 전통농업연구소를 통해 토종 종자를 보존해 종자주권과 농부권을 확보하고 순환적 방식의 농사법을 보급하는 일에 매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토종 작물의 상품화, 무동력 자연순환 퇴비통 및 생태뒷간 보급 등의 일을 하고 있다. 생태도시 조성에 힘쓰고 있는 그를 만나 남다.. 2021. 11. 22. [KJY 만난 사람들] 유진섭 정읍시장..민본애민(民本愛民) 정신 정치는 ‘약자가 눈물을 흘리지 않는 세상, 사람이 먼저인 세상, 빈부와 직업에 상관없이 모든 이들이 공정하게 누리는 세상을 만들어 가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국민(시민)이 국정(시정)의 근본이며, 국민(시민)을 존중하고 사랑하는 것이 으뜸이어야 한다는 세종대왕의 민본애민(民本愛民)정신도 늘 가슴에 새기고 있습니다 뜨거운 열정과 소년 같은 웃음, 그리고 보듬어야 하는 사람들에게 서슴없이 다가가 손을 잡는 유진섭 정읍시장에게 마음의 온기가 느껴졌다. ‘변화와 희망이 있는 시민, 모두가 더불어 잘사는 정읍’을 만들어 가겠다는 그가 지방정부 우수 정책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정읍은 예부터 품질 좋은 농산물 생산지로도 유명하다. 농산물 특화,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 정읍시가 품질을 보증하는 농축산물에만 사용을 승인.. 2021. 11. 18. 이전 1 ··· 48 49 50 51 52 53 5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