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ESG인터뷰64

[KJY 만난 사람들] K-트로트로 힐링의 힘을 선사할께요, 트로트 가수 장서영 아, 힘들다, 노래나 들어야겠다 싶을 때 내 노래를 들어줬으면 좋겠다. 애인과 헤어져서 힘들다 싶을 때 장서영 노래 들어야지 이런? (웃음) 트로트는 진짜 도전이었다. 모험일 수도 있고. 그걸 왜 하냐는 얘기도 듣고 잘 어울린다는 얘기도 들었다. 어릴 때부터 하고 싶은 게 있으면 꼭 했다. 부모님이 반대하더라도 항상 했었고 인정받았다. 앞으로 내 노래를 들으며 힘을 내는 분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화제의 오디션 미스트롯 시즌1에서 종횡무진 활약한 가수 장서영을 엔터테인먼트 사무실에서 만났다 가수 장서영은 지난 2013년 뮤지컬 초연으로 활동을 시작해 , , , , 등 다수의 작품에 출연하며 뮤지컬 배우로서 커리어를 쌓아 왔다. 뮤지컬 배우를 꿈꾸던 시절, 무대에서 캐릭터와 감정을 표현하는 데 무엇보다 중요.. 2021. 12. 7.
[KJY 만난 사람들] 권성세 전 국가대표 유도 감독, 어려운 환경에서 운동하는 아이들.. 관심 필요해 [인터뷰 모음집] 지난 1984년도부터 시작해 전국대회 우승 119번, 아침, 점심, 저녁을 오롯이 유도에 쏟고, 오매불망 유도를 향한 배움과 노력에 매진해온 대한민국 전 국가대표 유도 감독 권성세. ‘반항아’ 혹은 ‘금빛 조련사’, 그를 바라보는 상반된 시선이다. 혹자는 그를 두고 체육계의 반항아라 일컫지만 그를 긍정적으로 보는 이들에게는 기댈 수 있는 든든한 방패막이자 그를 따르는 제자들에게는 참된 스승이다. 한국 체육계의 발전을 위해서는 쓴 소리 마다하지 않고 제자들에게는 마음으로 다가서는 ‘금빛 조련사’ 권성세 전 국가대표 유도 감독을 만났다 국가대표 감독을 맡게된 계기 올림픽은 총 7체급으로 7명이 나간다. 당시 시드니 올림픽에 나간 선수촌 대표팀 선수들은 한 체급에 1~2명씩 들어가 있는데 체급별로 중복되게 뽑.. 2021. 12. 6.
[KJY 만난 사람들] 민요의 구구절절한 가사.. 위로와 치유, 김보연 명창 [인터뷰 모음집] 대부분 민요를 시작을 한 계기는 집안에서 안 좋은 일이 있다거나, 정신적으로 힘드신 분들이 꽤 많다. 지푸라기 잡는 심정으로 민요를 배우고 소리를 알게 되면서 치유를 받는다. 인생에서 어려운 시기를 민요 덕분에 넘기신 분들이 많다. 소리 덕분에 스트레스가 풀리고 구구절절한 가사가 큰 도움이 된다. 스스로 위로를 삼게 되고 희로애락을 느낄 수 있는 게 민요다. 한의원에서 의학적으로도 소리를 지르는게 스트레스를 푸는데 좋다고 말하더라. 소리를 내지르는 민요는 제일 좋은 효과를 주면서도 전통을 배우며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해질 수 있다 국가무형문화재 제 57호 경기민요 김보연 명창의 말이다. 어린 시절부터 남다른 끼로 서울굿의 맥을 이은 김혜란 명창 문하를 통해 민요의 길로 들어서게 된 김보연 명창은 인간문.. 2021. 12. 3.
[KJY 만난 사람들] 한국 노벨문학상에 목마르다 , 손해일 전 국제PEN한국본부 이사장 문학은 인간의 정신을 성장시키고 인간의 존엄성을 고양하며 삶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 왔지만 빠르게 변모하는 상업주의에 가치를 내어주는 실정이다. 5천 년 역사의 우리 고전문학은 별개로 하더라도 한국의 현대문학은 1908년 ‘소년’ 창간호에 최남선의 ‘해에게서 소년에게’를 효시로 본다. 110년의 짧은 역사이지만 한국문학의 수준은 매우 우수하다는 평이다. 최단기간 내에 세계 10위권의 경제발전과 민주화를 성취한 한민족의 자부심이 문학에도 배어 있다. 그럼에도 노벨문학상 등 수상자가 없는 것은 우수작품 번역미비, 세계 독서 출판시장에의 홍보 부족,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 부족이 원인이라고 꼽힌다. 매년 스웨덴 한림원으로부터 의뢰받아 노벨문학상을 추천하는 국제PEN한국본부에서 4년간의 임기를 마치고 퇴임한.. 2021. 12. 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