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칼럼

[기자칼럼] ESG 산업설계, 지방도시의 미래를 바꿀 수 있을까. #콜라보뉴스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25. 5. 29.
728x90
반응형

▲(이미지 출처=pngtree)

지방소멸이라는 단어가 더 이상 비현실적인 경고로만 들리지 않는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28개 지자체 중 절반 이상이 ‘소멸 위험 지역’에 해당하며, 일부 지역은 이미 인구의 자연감소와 유출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청년은 떠나고, 고령화는 가속되며, 경제가 멈춰서는 이 악순환 속에서 지방도시들은 생존을 위한 새로운 해법을 절실히 찾고 있다.

그 대안 중 하나로 주목받는 것이 바로 ‘ESG 산업설계’다. ESG는 더 이상 대기업의 지속가능성 보고서에만 등장하는 단어가 아니다.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를 축으로 한 산업생태계 재구축은 지방도시가 처한 구조적 문제를 해결할 실마리를 제공한다.
 
해외 사례는 이미 속도를 내고 있다. 몬트리올, 오울루, 바이에른주 등은 ESG 원칙을 지방정부 정책에 통합해 성과를 내고 있다. 국내에서도 나주 빛가람혁신도시, 빈집 활용 프로젝트 등 의미 있는 시도가 있지만, 여전히 선언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다.
 
지방소멸을 막으려면 ‘보여주기 ESG’가 아니라, 실행하는 ESG가 필요하다. 지역 행정, 주민, 기업이 함께 설계하고 책임지는 구조가 필수다.

지방은 사라질 곳이 아니라, 다시 설계될 곳이다. 

 

[기자칼럼] ESG 산업설계, 지방도시의 미래를 바꿀 수 있을까.

▲(이미지 출처=pngtree)지방소멸이라는 단어가 더 이상 비현실적인 경고로만 들리지 않는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28개 지자체 중 절반 이상이 ‘소멸 위험 지역’에 해당하며, 일부 지역은 이

collabonews.com

 

728x90
반응형